728x90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파일(File)’ 메뉴 설명 1탄
- 새 문서, 열기, 가져오기, 사본 만들기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파일(File)’ 메뉴 1탄 자주 사용하는 네 가지 기능 — 새 문서, 열기, 가져오기, 사본 만들기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새 문서 (New document)

● 기능 설명
‘새 문서’는 완전히 새로운 빈 스프레드시트를 만드는 기능입니다.
엑셀의 “새 통합 문서 만들기”와 같은 역할입니다.
● 사용 방법
- 상단 메뉴에서 [파일] → [새로 만들기] → [스프레드시트] 를 클릭합니다.
- 새로운 탭이 열리며 제목이 “제목 없는 스프레드시트” 인 새 문서가 만들어집니다.
- 제목 부분(왼쪽 상단)을 클릭해 문서 이름을 바꿉니다.
예: “매출 정리표”, “출석부”, “가계부” 등
● 활용 예시
-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 매월 새 시트를 만들어 관리할 때 (예: 1월 매출표, 2월 매출표)
2. 열기 (Opening)
● 기능 설명
‘열기’는 기존에 만들어둔 문서를 다시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된 스프레드시트, 또는 내 컴퓨터에 저장된 엑셀 파일(.xlsx 등)을 열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 [파일] → [열기] 를 클릭합니다.
- 아래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 내 드라이브 탭: 내 구글 드라이브 안의 파일을 선택
- 공유 문서함 탭: 다른 사람이 공유해 준 문서 목록에서 선택.
- 업로드 탭: 내 컴퓨터에서 파일을 끌어다 놓거나 “파일 선택” 버튼으로 업로드
● 지원 형식
- .gsheet (구글 시트)
- .xlsx (엑셀)
- .csv
● 활용 예시
- 과거에 만든 문서를 불러올 때
- 엑셀 파일을 구글 시트로 옮겨서 편집하고 싶을 때
3. 가져오기 (Import)
● 기능 설명
‘가져오기’는 다른 파일의 데이터를 현재 문서로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즉, 현재 열려 있는 스프레드시트 안으로 외부 데이터를 합치는 역할입니다.
● 사용 방법
- [파일] → [가져오기] 를 클릭합니다.
- 가져올 파일을 선택합니다 (드라이브, 컴퓨터 업로드 등 가능).
- 아래와 같은 삽입 방식 옵션이 뜹니다:
- 새 시트로 삽입: 현재 문서 안에 새 시트를 만들어 그 안에 가져오기
- 현재 시트에 삽입: 기존 시트에 바로 덮어쓰기
- 새 스프레드시트로 만들기: 별도의 문서로 열기
● 활용 예시
- 다른 부서에서 받은 데이터를 내 시트에 합칠 때
- CSV 형식의 데이터를 분석용 시트에 불러올 때
- 매월 정기적으로 동일한 양식의 파일을 가져올 때
4. 사본 만들기 (Make a copy)
● 기능 설명
‘사본 만들기’는 현재 문서를 그대로 복사해서 새 문서를 만드는 기능입니다.
원본을 유지하면서 수정 버전을 따로 만들 때 유용합니다.
● 사용 방법
- [파일] → [사본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 복사본 이름과 저장 위치(내 드라이브, 특정 폴더 등)를 지정합니다.
- 확인을 누르면 동일한 문서가 복사되어 새 창에 열립니다.
● 활용 예시
- 원본은 그대로 두고 다른 버전을 편집할 때
- 공용 템플릿을 만들어 각자 복사해서 쓸 때
728x90
'구글 스프레드 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글 스프레드시트 자주 묻는 질문 _ 기본 사용법 편 (0) | 2025.10.29 |
|---|---|
| 구글 스프레드시트 – 템플릿 갤러리 (0) | 2025.10.29 |
| 구글 스프레드시트 맞춤 숫자 형식 응용 예시 10개 (0) | 2025.10.22 |
| 구글 스프레드시트 맞춤 숫자 형식 (0) | 2025.10.21 |
|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셀 표시 형식 (0) | 202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