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스프레드시트 연도별 최신 기능 총정리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처음 사용해보면 엑셀같은데 엑셀과는 다르다는것을 느낄것입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이하 Google Sheets)는 예전에는 “엑셀을 웹에서 가볍게 쓰는 도구”로만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대규모 데이터 분석, 자동화, 심지어 AI 분석까지 가능한 업무용 분석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과거에 구글 스프레드시트 사용해보고는 엑셀보다는 기능이 너무 없다고 생각했다가, 최근 이용해보시면 너무 많은 기능이 추가 된것을 보고 놀라고, 언제 이렇게 기능이 다양해졌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연도별 주요 업데이트를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언제 무엇이 추가되었는지”를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목차
- 2006~2013: 웹 스프레드시트의 탄생과 ‘New Google Sheets’
- 2014~2016: 확장성과 자동 인사이트의 시작(애드온, Explore)
- 2019~2020: 대시보드·빅쿼리 연결로 ‘업무용 분석’ 완성
- 2021~2023: 수식 추천, 네임드 함수, 타임라인, 새 함수 11종
- 2024~2025: Gemini AI(구 Duet)와 성능 대폭 개선, 테이블 경험 강화
1) 2006~2013: 웹 스프레드시트의 탄생과 ‘New Google Sheets’
2006년 탄생
- Google은 웹 기반 스프레드시트를 선보이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표를 편집하는 협업”을 세상에 본격 소개했습니다. 이 철학이 오늘의 실시간 협업 기능의 출발점이었습니다.
2013년 12월, ‘New Google Sheets’ 공개:
- 오프라인 편집(인터넷 없이도 편집 가능)
- 속도 향상(새 엔진)
- 필터 보기(Filter views): 각 사용자가 자기만의 보기로 필터링해도 다른 사람 화면엔 영향이 없는 협업 친화 기능
이 업데이트로 “같은 파일을 보면서도 서로 다른 필터”를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었고, 대용량 데이터에서도 시트가 훨씬 끊김 없이 반응하게 됐습니다.
예전에는 한 사람이 필터를 바꾸면 다른 사람 화면도 같이 바뀌었습니다. 필터 보기 덕분에 각자 원하는 조건으로 보면서도 충돌을 줄일 수 있게 됐습니다.
오프라인 편집은 출퇴근·현장처럼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환경에서 문서 작업을 가능하게 만들어 실제 업무 적용 폭을 크게 넓혔습니다.
2) 2014~2016: 확장성과 자동 인사이트의 시작(애드온, Explore)

- 2014년: 애드온(Add-ons) 마켓 도입
서드파티(또는 내부) 도구를 시트에 “플러그인처럼” 붙여 쓰는 개념이 도입됐습니다. 문자 변환, 문서 자동화, 연결형 보고 등 업무 흐름을 확장하는 핵심이 되었죠.

- 2016년: Explore(탐색) 추가
데이터를 올려두면 Sheets가 자동으로 차트/요약/인사이트를 제안합니다. “어떤 차트가 어울릴지” 고민을 줄여주는, ML 기반 분석 보조의 시초였습니다.
애드온은 “시트의 앱스토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필요한 기능을 추가 설치해서 업무를 자동화하거나 외부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Explore는 처음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는 분께 ‘추천받아 시작하기’ 경험을 제공합니다. 차트 하나 그릴 때도 훨씬 빠르게 첫 단추를 끼울 수 있습니다.
3) 2019~2020: 대시보드·빅쿼리 연결로 ‘업무용 분석’ 완성
2019년: 보고·대시보드를 위한 3대 기능
슬라이서(Slicers):
대시보드 화면에서 손쉽게 필터를 조작
스코어카드 차트(Scorecard):
핵심 성과 지표KPI를 큰 숫자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차트
테마(Themes):
보고서 전체의 색상·폰트를 일관성 있게 적용 실무 보고서의 '시각성'과 조작 '편의성'이 크게 올라갔습니다.

2020년: Connected Sheets(빅쿼리 직연결) GA
이제 BigQuery의 대규모 데이터를 시트에서 피벗/차트/수식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CSV로 내보내고 가져오는 번거로움 없이,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시트를 직접 연결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2020년: Smart Fill(스마트 채우기)
옆 열의 패턴을 학습해서 이메일 만들기, 이름 분리 등 반복 변환을 자동 제안합니다. 데이터 정리 속도를 확 올린 기능입니다.
슬라이서+스코어카드만으로도 경영지표 대시보드를 빠르게 꾸밀 수 있습니다.
Connected Sheets는 “분석용 원천 데이터는 웨어하우스에 두고, 최종 가공·시각화는 시트에서”라는 현대적 분석 워크플로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4) 2021~2023: 수식 추천, 네임드 함수, 타임라인, 새 함수 11종
2021년: 수식·함수 제안
합계, 평균처럼 자주 쓰는 연산을 자동으로 추천해 주어 초보자도 빠르게 계산을 완성할 수 있게 됐습니다.
2022년: 네임드 함수(Named functions)
복잡한 수식을 내가 만든 함수 이름으로 저장해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계산 로직을 팀 표준으로 만들어두면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2022년: XLOOKUP/XMATCH 지원, 셀 한도 상향(10,000,000셀)
XLOOKUP, XMATCH는 범위가 늘어나거나 열이 추가돼도 깨지지 않는 현대식 조회로, 업무 시트의 내구성을 높입니다. 또한 셀 최대치가 1천만으로 상향되어 더 큰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됐습니다.
2022년: 타임라인 보기(Timeline view)
“간트처럼 보이는 일정/프로젝트 보드”를 시트 안에 바로 만들 수 있어, 간단한 PM 도구로도 활용됩니다.
2023년: 새 함수 11종 대거 추가
VSTACK/HSTACK, TOCOL/TOROW, WRAPROWS/WRAPCOLS, TAKE/DROP, CHOOSECOLS/CHOOSEROWS, EXPAND, LET, EPOCHTODATE 등 동적 배열과 데이터 재배열에 특화된 함수들이 대거 추가되어, 쿼리 없이도 시트만으로 데이터 가공 파이프라인을 만들기 쉬워졌습니다.
네임드 함수는 “우리 팀의 표준 계산 레시피”를 하나의 이름으로 저장한다는 느낌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1개 새 함수는 긴 보조열을 만들지 않고도 행/열을 유연하게 추출·결합할 수 있어, 대시보드 제작 시간이 확 줄어듭니다.
5) 2024~2025: Gemini AI(구 Duet)와 성능 대폭 개선, 테이블 경험 강화
2024년: Gemini가 사이드패널에 정식 탑재
문서 맥락을 바탕으로 요약·분석·생성을 도와주고, 시트 안에서 바로 프롬프트로 함수·차트·정리 작업을 진행하는 흐름이 열렸습니다. 또한 계산·가져오기 등 핵심 작업 성능 향상이 함께 발표되었습니다.
2024년: 테이블 작성 경험 강화
데이터 범위를 선택하면 ‘+’ 제안 버튼으로 한 번에 테이블을 만들고, 머리글·정렬·필터·교차색을 자동 구성해줍니다. 행/열 빠른 추가, 형식 자동 인식도 개선되어 보고서 기본틀 만들기가 쉬워졌습니다.
2025년 2월: 체감 속도 개선
시트 간 붙여넣기 최대 50% 빨라짐, 필터 조건 설정 최대 50% 빨라짐, 기존 데이터 로드 최대 30% 빨라짐이 공식 발표되었습니다. 대용량 파일 편집 시 체감이 큰 업데이트였습니다.
2025년 상반기: Gemini로 드롭다운·피벗·차트 생성 등 ‘행동형 AI’ 확대
“상품 카테고리 드롭다운 만들어줘”, “이 데이터로 차트 만들어줘”처럼 명령형 프롬프트로 시트 설정과 시각화를 자동 생성합니다. 일부 기능은 완전 편집 가능한 차트 생성도 지원합니다.
2024~2025 업데이트의 핵심은 “빨라진 속도 + AI로 시작과 마무리를 도와주는 경험”입니다.
새 테이블 경험은 “표를 예쁘게 만드는 데 드는 시간을 줄여 분석 자체에 집중하도록 돕습니다.
Google Sheets의 변화는 크게 세 갈래로 정리됩니다.
- 협업과 성능:
오프라인 편집(2013)과 지속적인 속도 개선(2024~2025)으로 큰 파일도 끊김이 줄었습니다. - 확장과 연결:
애드온(2014)과 Connected Sheets(2020)로 외부 데이터·자동화와의 연결성이 강화되어 업무의 한가운데로 들어왔습니다. - AI 기반 작업 가속:
Explore(2016)→Smart Fill(2020)→수식 제안(2021)→Gemini(2024~2025)로 이어지는 AI 보조의 진화가 분석 준비-정리-시각화 전 과정을 빠르게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이제 엑셀과 비슷한 웹 시트가 아니라, 데이터 연결·자동화·AI 분석까지 가능한 업무형 분석 허브로 보셔도 좋습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글 스프레드시트 무료 vs 유료 차이,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 (0) | 2025.09.18 |
|---|---|
| 구글 스프레드시트가 뭐야? (1) | 2025.09.17 |
| 구글 스프레드시트 차트를 사용하는 이유와 활용법? (1) | 2025.09.12 |
| 구글 스프레드시트 차트 종류 완벽 정리! (2) | 2025.09.11 |
| 구글 공인 교육자 자격증 시험 완벽 가이드 (Google Certified Educator) (5)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