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알아가기

Private Cloud vs Public Cloud 차이점 쉽게 정리! 어떤 클라우드를 써야 할까요?

성공하는 그날까지 2025. 7. 11. 06:49
728x90
반응형

Private Cloud vs Public Cloud 차이점 쉽게 정리! 어떤 클라우드를 써야 할까요?

 

 

 

자주 듣는 IT 용어인 "Private Cloud(프라이빗 클라우드)" 와 "Public Cloud(퍼블릭 클라우드)"의 차이점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회사에서나 학교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을 쓴다고 하는데,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두 가지 클라우드의 특징과 장단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겠습니다.

클라우드를 선택해야 할 상황이 왔을 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면 좋을지도 알려드릴게요.

 

 


 

목차

  1. 클라우드는 무엇인가요?
  2. 퍼블릭 클라우드란?
  3. 프라이빗 클라우드란?
  4. 퍼블릭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비교
  5.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해야 할까요?

 


 

1. 클라우드는 무엇인가요?

 

먼저 클라우드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

클라우드는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을 쓰게 해주는 기술이에요.

예를 들어, 우리가 구글 드라이브네이버 MYBOX를 쓸 때 사진이나 문서를 인터넷에 올려놓고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잖아요? 그게 바로 클라우드예요!

 

그럼 왜 클라우드를 사용할까요?

  • 컴퓨터에 저장 공간이 없어도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요.
  •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만 있으면 파일을 꺼내 쓸 수 있어요.
  • 여러 명이 동시에 파일을 보고 수정할 수 있어요.

클라우드는 개인뿐 아니라 회사, 병원, 학교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어요. 바로 퍼블릭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입니다!

 

 

 


2. 퍼블릭 클라우드란?

 

 

퍼블릭(Public)은 ‘공공의’ 또는 ‘모두의’라는 뜻이죠. 퍼블릭 클라우드는 말 그대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예요.

대표적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음과 같아요:

  •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 아마존 웹 서비스(AWS)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이런 서비스들은 큰 회사들이 만들어 놓은 클라우드 공간을 여러 사람이 나눠서 사용하는 방식이에요. 마치 우리가 도서관이나 헬스장을 여러 사람과 함께 이용하는 것처럼요.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

  • 저렴해요: 여러 사람이 함께 쓰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들어요.
  • 쉽게 시작할 수 있어요: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 유지보수가 편해요: 전문가들이 다 관리해줘요.

퍼블릭 클라우드의 단점

  • 보안이 걱정될 수 있어요: 다른 사람과 같은 공간을 쓰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기엔 조심해야 해요.
  • 설정이 제한적일 수 있어요: 원하는 대로 완벽하게 바꾸기 어렵기도 해요.

 

 


 

3. 프라이빗 클라우드란?

 

이번에는 프라이빗(Private)에 대해 알아볼까요? 프라이빗은 ‘개인의’ 또는 ‘비공개’라는 뜻이에요. 즉,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나만을 위한 클라우드예요.

보통 큰 기업이나 기관에서 사용하며, 회사 내부에 서버를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병원이나 은행처럼 중요하고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곳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사용해요.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

  • 보안이 아주 뛰어나요: 다른 사람과 공간을 나누지 않아서 정보가 새나갈 걱정이 적어요.
  • 맞춤 설정이 가능해요: 회사에 맞게 클라우드를 직접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어요.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단점

  • 비용이 많이 들어요: 서버를 직접 사서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니까 돈이 많이 들어요.
  • 전문가가 필요해요: 관리할 수 있는 IT 인력이 있어야 해요.

 

 


4. 퍼블릭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비교

 

 


 

항목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사용 대상 누구나 특정 회사나 기관
설치 위치 인터넷상의 외부 서버 회사 내부 서버
보안 수준 일반적 매우 높음
비용 저렴함 고비용
유지 관리 제공업체가 관리 직접 관리 필요
사용 편의성 쉽고 빠름 세팅이 복잡할 수 있음
 

 

 

 


 

5.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해야 할까요?

 

 

 

클라우드를 선택할 땐 다음과 같은 기준을 생각하시면 돼요:

  • 예산이 적고 간편한 시작을 원한다면 → 퍼블릭 클라우드
  •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고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다면 → 프라이빗 클라우드

그리고 요즘은 두 가지를 적절히 섞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일반적인 문서와 사진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중요한 고객 정보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식이죠.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해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가지 클라우드의 차이를 쉽게 설명드렸는데요, 이제 클라우드에 대해 조금 더 친숙해지셨나요?

회사의 규모, 예산, 보안 수준을 고려해서 어떤 클라우드가 나에게 맞는지 잘 판단해보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클라우드 기술은 더 중요해질 거니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