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대적합과 과소적합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AI 머신러닝 용어 총정리

AI와 머신러닝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꼭 알아두셔야 할 과대적합(Overfitting) 과 과소적합(Underfitting) 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이런 용어들은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한 개념입니다.
끝까지 읽어보시면 쉽게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의 차이를 명확히 아실 수 있습니다.
1. 과대적합이란 무엇인가요?

과대적합(Overfitting)
과대적합은 머신러닝 모델이 너무 똑똑해져서 문제를 푸는 규칙을 넘어 특정 데이터에만 맞게 외운 것 같은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수학 문제를 풀 때 시험에 나온 문제만 계속 외우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 새로운 문제가 나오면 풀지 못하고, 오직 외운 문제만 잘 푸는 겁니다. 바로 이런 게 과대적합입니다.
과대적합이 되면 훈련 데이터(모델을 공부시킨 데이터) 에 대해서는 성적이 아주 좋지만, 시험(새로운 데이터)을 보면 엉망이 됩니다. 이유는 모델이 진짜 규칙을 배운 게 아니라 외운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2. 과소적합이란 무엇인가요?

과소적합(Underfitting)
과소적합은 모델이 공부를 덜 해서 문제를 잘 풀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다시 수학 예시로 보겠습니다. 공부를 너무 조금 해서 기본 문제도 못 풀고, 연습했던 문제도 제대로 풀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즉, 훈련 데이터에서도 잘하지 못하고, 새로운 데이터에서도 못합니다.
머신러닝에서는 모델이 너무 단순하거나 학습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이런 과소적합이 생깁니다. 이럴 때는 더 많은 학습이나 더 복잡한 모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의 차이점
여기서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의 차이를 한눈에 이해하실 수 있도록 비교해보겠습니다.
| 구분 | 과대적합 (Overfitting) | 과소적합 (Underfitting) |
| 공부 상태 | 너무 외워버림 | 공부가 부족함 |
| 훈련 데이터 성능 | 매우 좋음 | 나쁨 |
| 새로운 데이터 성능 | 나쁨 | 나쁨 |
| 원인 | 모델이 너무 복잡함 | 모델이 너무 단순함 |
| 해결법 | 모델 단순화, 데이터 늘리기 | 모델 복잡화, 학습 더 하기 |
즉, 과대적합은 너무 외운 것 때문에 생기고, 과소적합은 공부가 부족해서 생깁니다.
4.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을 방지하는 방법
이제 두 가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과대적합을 방지하는 방법
- 데이터를 더 많이 준비합니다.
- 모델을 단순하게 만듭니다.
- 드롭아웃(dropout) 같은 기법을 사용해 과도한 학습을 방지합니다.
- 교차검증(cross-validation)을 사용하여 일반화 성능을 높입니다.
과소적합을 방지하는 방법
- 모델을 더 복잡하게 만듭니다.
- 학습 시간을 늘립니다.
- 더 좋은 특징(feature)을 찾아서 모델에 제공합니다.
즉, 과대적합은 모델이 덜 똑똑하게, 과소적합은 모델이 더 똑똑하게 공부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5. 실제 사례로 이해하는 과대적합 vs 과소적합
마지막으로 실제 예를 통해 쉽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과대적합 사례
- 어떤 앱이 사람 얼굴을 인식하는데, 훈련 데이터에 있던 사람은 잘 찾지만 새로운 사람 얼굴은 전혀 못 알아봅니다.
- 이유는 훈련 데이터의 얼굴만 외워버렸기 때문입니다.
과소적합 사례
- 숫자 글씨를 구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숫자 0과 8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합니다.
- 이유는 모델이 너무 단순해서 숫자의 복잡한 차이를 배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은 AI나 머신러닝을 하면서 꼭 주의해야 할 문제입니다.
머신러닝과 AI에서 자주 나오는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의 차이를 아주 쉽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과대적합은 너무 외워서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것이고, 과소적합은 공부가 부족해서 문제를 못 푸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반대 개념처럼 보이지만, 결국 적절한 공부(학습) 를 통해 둘 다 피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모델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양과 품질, 그리고 모델의 복잡도를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AN과 VAE 차이점 쉽게 배우기: 생성 모델을 이해하는 방법 (0) | 2025.07.03 |
|---|---|
| Softmax와 Sigmoid 차이점 완벽 정리! 딥러닝 함수 비교 (0) | 2025.07.03 |
| 강화학습과 지도학습 차이점 완벽 비교: AI 공부 쉽게 이해하기 (3) | 2025.07.01 |
| 오픈소스와 상용소스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 어떤 소프트웨어를 써야 할까요? (2) | 2025.04.17 |
| ADAM과 SGD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 머신러닝 옵티마이저 비교 (0) | 2025.04.16 |